전체 글52 시계태엽 오렌지 민음사 앤서니 버지스 2025/03/18 1.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로 유명한 『시계태엽 오렌지』입니다. 15세 소년 범죄자 알렉스를 통해, 사회가 인간에게서 선택할 능력을 박탈하는 폭력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2. 알렉스는 많은 희생자를 낳는 인물입니다. 마약이 들어간 우유를 마시며 무고한 노인을 공격하고, 십대 아이들을 강간하며, 두 명을 살해하고 또 한 명의 죽음에 간접적인 원인을 제공합니다. 무엇보다 그는 그런 행동에 대해 일말의 죄책감도 느끼지 않는, 속된 말로 '답이 없는' 인물이죠. 그는 루도비코 치료법이라는 실험적 교화 프로그램을 통해, 폭력과 성적 자극, 음악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도록 ‘치료’받습니다. 더 이상 스스로 폭력을 휘두를 수 없고, 음악조차 듣지 못하는 상.. 2025. 3. 22.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 범양사프리초프 카프라2025/03/22 어렵고도 흥미로운 책이었습니다. 2부까지는 비교적 따라가기 쉬웠지만, 3부 후반부 부터는 이해하기가 확실히 어려워졌습니다. 양자론이나 상대성 이론 같은 과학 개념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다면 훨씬 더 깊이 있고 재밌게 읽을 수 있었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도 책 자체가 꽤 친절한 편이어서, 과학에 익숙하지 않은 저도 핵심적인 주장은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었습니다. 가장 흥미로웠던 건, 과학과 동양 사상이 전혀 다른 길을 걸어온 것 같지만 결국 비슷한 지점에 닿는다는 점이었습니다. “양자법칙과 불교”, “시바신과 상대성 이론”등등, 처음엔 이런 조합이 대체 어떻게 연결되나 싶었지만, 책을 읽다 보면 점점 그 연결이 설득력 있게 다가옵니다. 과학은 이성적 사고로, 동양 사상은.. 2025. 3. 22. 달과 6펜스 서머싯 몸 민음사 2025/03/11 1. 소설을 다 읽고 제목인 『달과 6펜스』가 소설의 내용과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갈등의 핵심이 ‘달(이상)’과 ‘6펜스(금전)’라고 하면, 보통은 인물이 돈과 꿈 사이에서 고민하거나 최소한 금전에 대해 어느 정도 미련을 보이는 모습을 상상하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주인공 찰스 스트릭랜드는 소설 내내 6펜스를 상징하는 돈·명예 따위에 관심조차 두지 않습니다. 그는 달을 좇습니다. 스트릭랜드가 가족과 사랑, 건강마저 내던지며 그림만을 좇는 과정에서 드러나듯, 그에게 세상의 보편적인 가치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오직 예술만이 그의 중심이지요. 스트릭랜드의 내면에서 세속적 가치와 예술이 충돌하는 경우는 보이지 않습니다. 대신 사랑과 예술이 충돌합니다. 찰스 스.. 2025. 3. 16. 말 민음사 장폴 사르트르 2025/03/15 1. 쉽지 않은 책이었습니다. 말, 읽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성장한 사르트르의 유년 시절 이야기를 다룹니다. 사르트르 자신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일들을 겪으며 자신의 사상을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문학적인 문장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사건을 중심으로 진행된다기보다는 생각과 의식의 흐름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서 쭉쭉 읽어나가긴 어렵습니다. 2. 사르트르의 실존주의가 카뮈의 실존주의와 무엇이 다른지, 어째서 레비스트로스 구조주의에게 비판당하게 되었는지가 궁금해서 읽었습니다. 제가 읽은 것을 아주 짧게 요약하면,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는 ‘인간은 자유롭게 선택하는 존재다’라는 문장이 될 것 같습니다. 3. 이 책을 읽는 동안, 소설에 가까운 자서전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받.. 2025. 3. 16. 섬 민음사 장그르니에 2025/03/081. 장 그르니에의 선집입니다. 매력적인 에세이입니다. 개인적으로 카뮈의 에세이집인 은 읽기 어렵다는 인상을 받았는데, 이 책은 한결 읽기 수월해서 좋았습니다. 2. 제게 좋은 에세이는 솔직한 마음과 아름다운 문장을 품은 글입니다. 부끄러움 때문에 숨기려고 애쓰거나 젠체하는 글, 지나치게 일상적인 단상만을 품은 글은 좋은 에세이가 아닙니다. 그렇다고 너무 현학적인 이론을 전개하는 것도 좋아하지 않습니다.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흐르는 생각을 포착하는 정도가 에세이라는 형식에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면에서 장 그르니에의 은 매력적인 에세이입니다. 아름다운 문장이 많습니다.담긴 이야기중에서 가 짙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그는 자신의 고양이, 물루에 대한 이야기.. 2025. 3. 10. 리어왕 민음사 셰익스피어 2025.03.05 1. 옛날에 읽었으나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아 다시 읽었습니다. 대부분의 인물이 파멸로 치닫는 비극적인 전개 속에서 언어의 정확함과 권력의 구조, 배신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2. 막내딸 코딜리어는 리어왕에게 자신의 사랑을 표현하는 자리에서 '없음'이라 대답합니다. 자신의 사랑을 표현할 수 있는 말이 없다는 의미로요. 하지만 리어는 그 말을 코딜리어가 자신을 향해 가진 사랑이 '없음' 이라고 받아들이고, 그녀를 가혹하게 내칩니다. 코딜리어는 말의 정확함을 추구한 것으로 보입니다. 리어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정확하게 표현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며, 말로써 리어를 향한 사랑을 표현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지요. 코딜리어는 놀란 리어에게 '없음' 을 재차 강조하는 .. 2025. 3. 10. 이전 1 2 3 4 ··· 9 다음